정성태 [뉴스]

홍준표 "일제시대 우리 국적은 대한민국"... 헌법 강조하며 김문수 저격

시와 칼럼 2024. 8. 27. 21:30
728x90

윤석열 대통령이 일제 식민사관 논란에 휩싸인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에 이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우리 선조의 국적은 일본" 등과 같은 일제 강점기를 합법화하는 듯한 발언까지 겹치며 보수층마저 반토막나고 있는 형국이다. 이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을 택했던 지지층마저 갈기갈기 찢어 놓는 치명적 패착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이 27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국민의 국적'에 대해 임시정부 이전과 이후로 나눠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전날 있었던 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일제시대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고 주장한 김문수 후보자를 정면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 시장은 "을사늑약은 원천무효라고 국사책에 나와 있다"며 "이게 또 정부입장"임을 역설했다. 비록 "일제시대에 강제병합되었지만 우리 국적은 일본이 아니다"는 점을 환기하며 "1919년 4월 11일 이전은 대한제국 국민이였고, 임정 수립 후는 대한민국 국민이여야 헌법전문에 충실한 것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을사늑약을 원천무효라고 해놓고 당시 우리 국민들의 국적을 일본으로 인정한다면, 을사늑약을 인정하고 상해임시 정부는 부정하는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손기정 선수가 일장기를 달고 마라톤 우승을 했지만, 왜 고개 숙여 시상대에 오르고 동아일보는 일장기를 말소 했을까"라며 "독립운동의 본질은 빼앗긴 국권과 영토 회복 운동"임을 강조했다.

홍 시장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둘러싼 ‘건국절 논란’에 대해서도 “헌법에 상해 임시정부를 대한민국 법통으로 삼고 있다”며 “건국이 1919년 4월 11일임은 자명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어 "그 법통을 이어받아 해방 후 영토를 회복해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다시 만들었다고 하면 될 것"이라고 훈계하기도 했다.

아울러 "상해 임시정부는 망명정부이지만 우리 국민들이 세웠고, 주권도 갖추었고, 영토만 일제에 침탈된 게 아니던가?"라며 "그래서 영토 회복을 위해 우리 선열들은 몸 바쳐 독립운동을 했던 게 아니던가?"라고 질타했다. 또한 "임시정부를 망명정부로 인정하지 않으면 해방 후 우리하고 비슷한 시기에 김일성 정부를 세운 북한에 대해 민족사의 정통성 논란도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꼬집기도 했다.

* 필자 : 정성태(시인/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