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태 [칼럼]

박근혜 2선 퇴진...야권인사로 책임총리 체제 구축해야/정성태

시와 칼럼 2016. 11. 2. 22:02
728x90

박근혜 정부 평균 지지율이 10% 이하로 떨어졌다. 주요 지지 기반인 대구ㆍ경북 및 60대 연령층에서도 겨우 20%대에 머물러 있다. 이미 식물 정권으로 전락했다는 뜻이다. 이제 남은 것은, 박근혜의 2선 퇴진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거기 야권 인사로 책임 총리를 맡겨, 내각 구성 전권은 물론이고 국정운용 전반을 총리에게 일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든 국정 공백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급박한 당위가 여럿 있다. 우선 미국 대선이 힐러리의 승리로 끝날 개연성이 매우 높다. 네오콘과 궤를 같이 하는 그녀의 북침 도발 야욕을 차단해야 하는 발등의 불이다. 이것을 끄지 못한 채 국정 공백이 계속되면 자칫 민족 공동체 모두의 운명이 폐허로 주저앉을 수 있다. 아울러 내년 대선에서 우려되고 있는 부정선거 방지 또한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을 수 없다.

 

작금 논란이 된 사드배치 계획도 원점으로 돌려야 한다. 국방부가 추진 중인 일본과의 군사정보교류협정 또한 파기해야 옳다. 가계부채를 비롯한 민생고도 나락의 극한 지점에 처해 있다. 그야말로 어느 것 하나 시급하고 또 중요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 최순실 사태에 대한 엄중 수사 또한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것을 추동할 수 있는 철학과 검증된 경륜을 지닌 야권 인사를 찾아야 한다는 점이 과제로 남는다. 그리고 난제 해결을 위해 기꺼이 불속에 뛰어들어 줄 것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느냐는 점 또한 관건이다. 국가적 여러 현안들 앞에서 아찔한 생각이 눈앞을 가린다.

 

거듭 강조하지만, 박근혜 2선 퇴진 통한 중량감 있는 야권 인사의 책임 총리 체제로 서둘러 전환해야 한다. 이를테면 거국국민내각 구성을 통해 국정 공백을 막고 시급한 국가적 현안들을 풀어갈 수 있어야 한다. 권력은 짧으나 국가는 영원해야 되고, 국민의 안녕은 항구적이어야 하는 까닭이다.

 

시인 정성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