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태 [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기각' 47.1%, '탄핵 인용' 46.7%로 팽팽히 맞서

시와 칼럼 2025. 1. 24. 04:59
728x90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관련해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이 47.1%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 46.7%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며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잘 모름'은  6.2%였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탄핵 찬성 여론이 70% 안팎을 형성하던 때와 비교해 보면 여론 지형이 크게 바뀐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1월 20~21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윤 대통령을 탄핵소추한 국회 측이 탄핵소추안에서 형법상 내란죄를 배제했는데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조사 값이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기각해야 한다'가 30대 54.8%, 70대 이상 52.5%, 60대 51.7%, 만18~29세 49.6%, 50대 39.3%, 40대 37.6% 순으로 높았다. 반면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50대 58.4%, 40대 56.0%, 만18~29세 48.5%, 30대 43.2%, 60대 42.6%, 70대 이상 27.1%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기각해야 한다'가 대전·충청·세종 55.5%, 대구·경북 50.8%, 부산·울산·경남 49.6%, 경기·인천 48.4%, 서울 47.5%, 강원·제주 31.9%, 광주·전남·전북 3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용해야 한다'는 광주·전남·전북 62.4%, 강원·제주 57.2%, 경기·인천 48.2%, 서울 46.3%, 부산·울산·경남 40.6%, 대구·경북 40.2%, 대전·충청·세종 39.5%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기각'과 '인용' 답변이 팽팽한 것은 정부·여당과 야당 간의 대립이 극심한 상황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탄핵 결정 시 국론 분열 가능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는 이런 정치적 영향과 파급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탄핵 심판의 최종 결론을 내려야 한다"며 "단순히 법적 기준만이 아니라 국가와 국민에 미칠 수 있는 정치적 영향까지 균형 있게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한편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48.5%를 얻으며 더불어민주당 38.8%를 훌쩍 따돌렸다. 지난 조사 대비 민주당은 1.6%p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8.5%p 상승하며 양당 간 격차는 9.7%p 차이로 벌어졌다. 그외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1.3%, 진보당 0.4%, 기타 다른정당 1.7%, 지지정당 없음 5.4%로 집계됐다.

김대은 대표는 민주당 지지율 하락 원인에 대해 "계엄에는 반대하지만 민주당의 '폭주 고질병'은 더 싫다는 국민적 반감 때문"이라며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협박 및 고발 등 수권정당의 모습과 거리가 멀어지면서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방식으로 진행됐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로 표집했으며, 2024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으로 성·연령대·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신뢰 수준 95%에, 표본 오차 ±3.1%p, 응답률은 7.8%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필자 : 정성태(시인/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