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태 [칼럼]

방송 자해극 사태... 진상조사와 대국민 사과, 응분의 책임도 따라야

시와 칼럼 2022. 10. 2. 11:05
728x90

저널리즘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는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과 그에 따른 주의주장의 다양성이다. 같은 사안을 대하는 시각이 다르게 존재하고, 논조가 상이한 경우도 허다하다. 개인 또는 집단 사이에 일정한 반목과 갈등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요인으로 작동된다. 저널리즘이 지닌 특성 가운데 하나다.

정보 전달자로서 뿐만 아니라, 방향을 제시하고 의견을 피력하는 기능적 요인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힘의 바탕이 된다.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 개인의 소셜미디어 참여도 매우 높다. 유튜브를 통한 고수익을 창출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물론 거대 자본과 인적 네트워크를 지닌 기업형 저널리즘에 비하면 제한적이다.

여기서도 자본의 법칙이 작용한다. 개인 유튜버들도 세간의 관심사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진영을 구획하고, 독자층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정치를 상품으로 가공한다. 그게 곧 화폐로 교환되는 까닭이다. 때문에 불편부당한 것들은 거세되고, 그러다보니 객관성이 결여되기 십상이다.

거기엔 정치적 반대 세력에 대한 맹렬한 공격성과 묻지마 지지만 넘친다. 저널리즘이 특정 정당과 정파에 대한 극단적 편향성으로 일그러진다. 정치적인 요소를 재화로 가공해 탄탄한 수익자가 되는 구조다. 저널리즘 형식을 띄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탐욕의 홍등이 즐비하다.

이러한 문제는 정치 유튜버로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심각성이다. 공영방송을 내세운 곳에서마저 개인 유튜브 방송의 일탈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경향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미 자정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까지 불거진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퇴락했는지 부끄러울 일이다.

언론의 자유와 취재활동 보장은 매우 중요하다. 취재원 보호도 마땅하다. 그런가하면 오보의 위험성도 안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이 악의적 오보라면 사정은 달라진다. 인지오류를 유도하는 영상자막과 편집을 통해 사실을 왜곡하려 했다면 지탄받아야 할 사안이다. 심지어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에 고자질하듯 이메일로 전송했다고 하니, 그 동기를 놓고 심각한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은 누구라도 실수할 수 있다.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다. 주어진 권한이 크기 때문에 취재의 집중 대상일 수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참모들과 지나가는 듯 사적으로 나눈 대화마저 들춰내 이를 왜곡 방송했다는 점은 경악할 일이다. 또한 관련 방송을 송출하기 전에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SNS를 통해 유포했다는 점이다. 언론과 정치권력의 유착이 의심되는 지점이다.

결국 자막조작 사건은 방송사에 대한 불신으로 귀결되고, 그 자신들에게는 부메랑이다. 특히 국익이 걸린 문제여서 그 어떤 변명으로도 납득하기 어렵다. 군부 독재시절의 보도지침과 형태만 다를 뿐 방향성은 유사하다. 언론 자해극에 이어 외교참사로 번질 수 있었던 끔찍한 사태다. 자체 진상조사와 함께 대국민 사과가 요구된다. 응분의 책임도 따라야 할 일이다.

시인 정성태